프로그래밍/C++

    [C++] C언어와 다른 C++ 함수(2)

    [C++] C언어와 다른 C++ 함수(2)

    1. 함수 삭제(delete function) - C++ 11부터 추가된 문법 - 아래 코드의 의미 : int를 인자로 받는 move 함수는 삭제하겠다. - 삭제된 함수를 호출하면 컴파일 시간에 오류가 발생한다. void move(int) = delete; // 함수 삭제 int main() { move(10); // 컴파일 에러 } 1.1 함수를 제공하지 않는 것 vs 함수를 삭제 하는 것 - 함수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=> 함수 호출 시 인자의 암시적 형 변환을 통해서 호출 가능한 함수를 찾게 된다. => 데이터 손실이 있을 수 있어 손해 => 해결 방법은 double 타입의 함수를 만들어 대응 => 함수를 선언만 제공한다면 함수 호출 시 링크 에러(link error) 발생 - 함수를 삭제(dele..

    [C++] C언어와 다른 C++ 함수(1)

    [C++] C언어와 다른 C++ 함수(1)

    1. default parameter - 함수 호출 시 인자를 전달하지 않으면 미리 지정된 인자값을 사용할 수 있다. void move(int x, int y = 0, int z = 0) { } int main() { move(1, 2, 3); move(1, 0, 0); move(1); // 1, 0, 0 move(1, 10) // 1, 10, 0 } - 함수의 마지막 인자부터 차례대로 디폴트 값을 지정해야 한다. void move(int x = 0, int y) { } // error int main() { move(3); // y에 3이 적용될 것인가? } //----- 예시 ------ void t1(int a, int b, int c = 0) { } // ok void t2(int a, int b..

    [C++] 변수(2)

    [C++] 변수(2)

    1. Constexpr - 컴파일 시간 상수를 만드는 새로운 키워드 => 컴파일 시간에 결정되는 상수 값으로만 초기화 할 수 있다. - C++ 11에서 도입된 문법 int main() { const int t1 = 10; // 상수로 만듬 t1 = 20; // error constexpr int t2 = 10; // 상수로 만듬 t2 = 20; // error } 1.1 C언어와 배열의 크기 - C89 (1989년에 표준화된 문법) => 컴파일 시간에 크기를 알 수 있어야 한다. - C99 (1999년에 표준화된 문법) => 배열의 크기로 변수도 가능 => g++은 지원하지만 cl컴파일러는 지원하지 않음 void move(const int n) { int arr[s]; // error - move(10)..

    [C++] 변수(1)

    [C++] 변수(1)

    1. C언어와 다른 C++ 변수의 특징 - 함수의 중간에서 선언 가능 - 구조체 사용 시 struct를 표기하지 않아도 된다. - 구조체를 만들 때 멤버를 초기화 할 수 있다. - C++ 11이상 - 2진수 표기법 / 자릿수 표기법 - C에는 없는 새로운 데이터 타입 struct Rect { int x = 0; int y = 0; // 구조체 멤버 초기화 } int main() { if(true) {} int n = 0; // 함수 이후 변수 선언 가능 Rect rt; // C에서의 struct Rect rt; 에서 struct를 빼도 된다. int n1 = 10; // 10진수 int n2 = 0x10; // 16진수 int n3 = 010; // 8진수 int n4 = 0b10; // 2진수 int ..

    [C++] iomanipulator

    [C++] iomanipulator

    개념 - 입출력의 형태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 - 조정자 함수 또는 조작자 함수 라고 부름 #include #include int main() { int num=10; std::cout

    [C++] C++ 표준 입출력

    [C++] C++ 표준 입출력

    C++ 표준 입출력 방법 1. 출력 - 기존 C에서 사용하던 printf대신 cout